우울증보다 ‘이것’ 자살 위험 7.7배 높아…“치료엔 무관심”
페이지 정보
작성자 bsccpuca 작성일25-11-12 22:27 조회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발표
성격장애, 자살 위험 가장 높아…우울증은 2.98배
자살과 관련이 깊은 정신질환은 흔히 우울증으로 알려져 있지만 ‘성격장애’가 자살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 연구팀이 정신질환에 따른 자살 위험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분자 정신의학(Molecular Psychiatry)’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분석을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395만 1398명을 2021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이 가운데 26만 3754명이 정신질환을 경험했고, 1만 2290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이들의 정보를 분석했더니 정신질환 가운데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은 건강한 사람과 비교해 자살 위험이 7.7배 높았다.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는 사고방식이나 행동 양식이 지나치게 왜곡되거나 편향돼 대인관계나 직업생활에 문제를 일으키는 장애를 가리킨다.
타인에 대한 과도한 불신과 의심을 보이는 편집성 성격장애, 다른 사람의 관심이나 주의를 끌기 위해 무대 위에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연극성 성격장애, 자아상과 대인관계, 정서가 불안정하고 충동적인 경계성 성격장애 등이 있다.
또한 양극성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자살 위험이 건강한 성인 대비 6.05배 높았고, 조현병은 5.91배, 강박장애 4.66배, 약물중독 4.53배, 알코올중독 4.43배, 외상후스트레스장애 3.37배 등이었다.
자살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혀 온 우울중의 자살 위험은 2.98배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1000인년(1인년은 1명을 1년간 관찰한 값) 당 자살 발생률도 성격장애가 2.49명으로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일반 인구의 10%가량으로 추정되는 성격장애 환자의 경우 “치료에 무관심하고, 어려움의 원인을 외부에서 찾는 경향이 있어 실제 진단받는 경우가 적다”면서 “이들의 높은 자살 위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연구를 주관한 전홍진 교수는 “대규모 연구를 통해 성격장애가 자살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면서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주변의 따뜻한 관심과 도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석밥 50%·생수 63% 할인”…‘소비쿠폰 특수’ 편의점 행사 봤더니 [편플:편의점FLEX]
[오늘의 운세] 2025년 5월 27일
[오늘의 운세] 2025년 6월 10일
“배탈 난 이유 있었다”…믿고 먹던 ‘이것’, 10개 중 4개서 세균 검출
“자녀 성별, 랜덤 아닐 수도”…또 아들? 또 딸? 법칙 있었다
“눈동자만 봐도 알 수 있다”…사이코패스, ‘이 반응’ 다르다는데
[오늘의 운세] 2025년 6월 12일
“채소 많이 먹으면 ○○ 영구적으로 손상”…의외의 연구 결과에 ‘깜짝’
자기 전 먹으면 독? “잠 안 올 땐 이 과일 드세요…수면보조제 수준”
한 경기에 ‘헤드샷’ 두번…관중석 연호에 더 ‘뿔난’ 롯데 팬들
6m3cj6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