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제 131주년 동학농민혁명기념 정읍동학마라톤 대회

동학농민혁명기념 정읍동학마라톤 대회


  • 제131주년 동학농민혁명기념 정읍동학마라톤 대회
  • 2025. 3. 9(일)
  • 정읍시종합경기장 | 오전 8시 30분 출발
  • 접수기간 : 2024년 12월 24일 ~ 2월 16일

자유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선이 그린 `홍료추선’(紅蓼秋蟬).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작성일25-08-10 02:09 조회90회 댓글0건

본문

겸재 정선이 그린 `홍료추선’(紅蓼秋蟬).


한자 그대로 ‘붉은색의 여뀌’(紅蓼)와 ‘가을의 매미’(秋蟬)를 그렸다.


우리말로 풀어쓴 또 다른 제목은 `여뀌와 매미\'다.


잎이 둥글고 잎맥이 두드러지는 쪽의 형태학적 특징을 세밀하게 그렸다.


그러나 선비들의 시와 철학에서는 고귀한 삶의 상징으로 특별한 자리를 차지했다.


마약전문변호사


왜 그럴까? ▲ 겸재 정선의 매미 그림 <홍료추선> 여뀌에 매달린 매미를 그렸던 정선 선생의 그림, 비록 신사임당, 김인관, 정선, 심사정, 김인관, 정황, 이우 등이 그림 속에 매미를.


신사임당의 초충도에는 매미가 대나무 잎이나 식물 위에 앉아 섬세한 날개를 펼친 모습이 생생히 그려진다.


정선의홍료추선과 송림한선, 월봉 김인관과 심사정의 화조도에는 매미가 나뭇가지에 조용히 앉아 여름의 정취를 더한다.


과전전계', 들쥐 한 쌍이 수박을 훔쳐먹는 '서과투서', 가지밭 두꺼비를 표현한 '하마가자' 등이 포함됐다.


여뀌꽃과 매미의 '홍료추선', 맨드라미꽃과 어미닭·새끼닭 3마리의 '계관만추', 벌레를 쫓는 장닭의 '등롱웅계', 방아깨비를 주시하는 검은 고양이의 '추.


정선 화훼영모화첩 중 석죽호접과홍료추선.


생물도감인 것 마냥 섬세하게 묘사된 나비와 매미.


화려하기보다 소박하면서도 섬세하고 간지럽게 느껴지는 자연의 모습들.


수리복원 이후 처음 세상에 공개된.


18화(관련 기사 : 임금의 머리 꼭대기에 앉았던 매미)에서 알아봤듯이 5덕을 가진 곤충으로서 여러 화첩에 단골소재로 등장한다.


홍료추선(紅蓼秋蟬)과 송림한선(松林寒蟬)에는 말매미와 참매미가 담겨있다.


홍료는 여뀌를 말하고추선은 '가을 매미'라는 뜻이다.


조석진에게로 이어졌고, 산수화 화풍은 조석진의 외손자인 변관식을 통해 계승되어 근대의 화단에까지 널리 영향을 끼쳤다.


▲홍료추선(일부) 정선, 18세기, 비단에 채색, 20.


5, 간송미술관 소장 ⓒ 한국데이터베이스산업진흥원, CC BY 겸재 정선(1676~1759.


흥미로운 작품은 잘 익은 수박 하나를 훔쳐먹는 들쥐 한 쌍을 그린 '서과투서', 붉은 꽃 타래 부근에서 놀고 있는 매미를 그린 '홍료추선'이다.


동식물에 대한 정밀한 묘사와 이를 통해 드러내는 감상은 정선이 거시와 미시를 두루 갖췄음을 보여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